[조선일보] 3대명당 (明堂) -조용헌

운조루 0 19

3대명당(明堂)은 어디를 가리키는가? 제일 먼저 가보라고 권하고 싶은 곳은 구례의 사성암(四聖庵)이다. 한국 풍수의 원조인 도선국사가 공부했던 곳이다. 이 사성암 근처에 있는 동네가 사도리(沙圖里)인데, 도선이 어떤 이인(異人)으로부터 풍수의 이치를 전수받은 장소로 알려져 있다. 사성암은 풍수의 ‘산진수회(山盡水?)’의 원리가 교과서적으로 나타나 있는 터이기도 하다. 산자락이 끝나는 곳을 섬진강이 반달처럼 둥그렇게 감싸면서 흐르고 있는 모습이 아주 볼만하다.


집터로서 물이 감아 도는 명당을 꼽는다면 안동의 하회마을이다. 호방하고 넉넉한 집터를 꼽는다면 구례의 운조루(雲鳥樓)와 경남 창녕의 성 부잣집 터이다. 운조루는 배산이 지리산이고, 임수는 섬진강이다. 그 사이에 너른 들판이 있어서 먹고 살기에도 풍족하다. 산에서 나물과 땔감이 나오고, 들판에서 곡식이 나오고, 섬진강에서 각종 고기들이 잡히므로 굶어 죽을 염려가 없다. 창녕의 성 부잣집은 집 안에 자그마한 동산이 있을 정도로 집터가 넓다. 집 앞으로는 강한 불기운을 지닌 화왕산(火旺山)이 보인다. 터질 듯한 기백이 넘쳐흐르는 산이다. 이 터에서 보면 화왕산이 문필봉으로 작용한다. 집 앞의 너른 들판이 마음을 풍요롭게 만들어준다.


진주시의 지수면(智水面)은 동네 전체가 명당이다. 방어산의 자락이 내려와 동네 앞을 지나면서 밥상 같은 모양을 만들었다. 동네에서 보면 이 앞산은 영락없는 밥상이다. 이 산자락은 끊어지지 않고 다시 돌아가면서 동네 뒷산을 형성한다. 뒷산은 아주 점잖은 토체형(土體形)이다. 그런가 하면 냇물은 동네 앞으로 세 가닥이 감싸 안으면서 흘러간다. 전형적인 부자동네 터이다. 500년 동안 부자가 끊이지 않았던 유명한 부자 터이다. LG그룹의 구씨 집안, GS그룹의 허씨 집안이 모두 이 동네 사람들이다. 경남 산청군 생초면도 명당이다. 생초면의 최대 장점은 멀리 필봉산(筆峰山)이 아주 선명하게 보인다는 점이다. 그래서 인물이 많이 나오는 곳이다.


남한에서 가장 잘생긴 문필봉을 구경하려면 생초면으로 가야 한다. 전남의 달마산 미황사는 석양의 낙조가 볼만한 명당이다. 바다의 섬 사이로 지는 낙조가 일품이다. 한국은 명당이 널려 있다.

Comments

Now

현재 [조선일보] 3대명당 (明堂) -조용헌

댓글 0 | 조회 20
3대명당(明堂)은 어디를 가리키는가? 제일 먼저 가보라고 권하고 싶은 곳은 구례의 사성암(四聖庵)이다. 한국 풍수의 원조인 도선국사가 공부했던 곳이다. 이 사성암 근처에 있는 동네… 더보기

[전라도닷컴] 누구든지 열 수 있다

댓글 0 | 조회 17
‘누구든지 열 수 있다’는 그 뜻구례 운조루 쌀뒤주예전 부잣집에 가면 으레 쌀 몇 가마가 들어간다더라는 식으로 소문난 큰 뒤주가 있기 마련. 쌀이 곧 돈이었던 시절에 뒤주는 그 집… 더보기

[광주일보] 운조루를 생각하라

댓글 0 | 조회 21
운조루(雲鳥樓)를 생각하라한해를 시작하면서 운조루(雲鳥樓)를 생각한다. 즈믄 세월, 온갖 풍상을 견뎌온 퇴옥(頹屋), 그 빛바램 속에 담긴 전설을 떠올린다. 헌데, 정해년(丁亥年)… 더보기

[조선일보] 柳氏<田家日記>-이규태

댓글 0 | 조회 13
柳氏<田家日記>이규태(조선일보 논설위원)지리산 옥녀봉(玉女峰)에는 이런 신화가 깃들어 있다. 정욕에 불타오르는 옥녀가 이 산봉우리에서 짝지을 남신(男神)을 기다리다 불어… 더보기

[전원주택] 고택을 찾아서,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집, 구례 운조루(雲鳥樓)

댓글 0 | 조회 17
구례에서 섬진강 줄기를 거슬러 하동으로 가는 길은 ‘울긋불긋 꽃 대궐’ 그 자체다. 도로 양 언저리에 만개한 벚꽃이 터널을 이루는데, 간간이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상춘객(賞春客)을 … 더보기

[동아일보] 구례 운조루 금환낙지 명당

댓글 0 | 조회 19
[우리문화우리풍수 | 구례 운조루 금환낙지 명당]조선 후기 명당에 터잡기 교과서운조루 아래에 있는 금환낙지 명당으로 알려진 춘해루.호남의 대표적인 명가 고택 가운데 하나인 운조루(… 더보기

[서울신문] 퍼도 퍼도 줄지않는 사랑

댓글 0 | 조회 19
퍼도 퍼도 줄지않는 사랑“지난 여름부터 쌀 걱정은 않고 살아가고 있습니다.”광주시 남구 월산 5동 김모(75)할머니는 일주일에 한번꼴로 동사무소에 들러 이곳에 설치된 ‘쌀뒤주’에서… 더보기

[세계일보] 베풂의 철학…''적선지가 積善之家 '' 구례 운조루

댓글 0 | 조회 19
‘타인능해(他人能解).’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있는 대저택 운조루(雲鳥樓)의 쌀 뒤주에 새겨진 글로, 의역하면 ‘누구나 맘대로 퍼갈 수 있다’는 뜻이다. 그 놓인 위치부터 예… 더보기
언론보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