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운조루 고택 연지 앞산의 화기를 막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중요민속자료 제8호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이 집은 조선 영조 52년 (1776년)에 당시 삼수 부사를 지낸 류이주 (柳爾胄)가 세운것으로 99간 (현존73간)의 대규모 주택으로서 조선시대 선비의 품격을 상징하는 품자형 (品字形)의 배치 형식을 보이고 있는 양반가이다.


류이주는 그가 처음 이사와 살았던 구만들 (九萬坪)의 지명을 따 호를 귀만 (歸晩) 이라했으며 이 집을 귀만와 (歸晩窩) 라고도 불렀다. 운조루라는 택호는 <구름속의새>처럼 <숨어사는 집>이란 뜻과 함께 <구름위를 나르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란 뜻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본디 이집의 이름은 중국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 에서 따온 글 이다.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 오르고, 새들은 날기에 지쳐 둥우리로 돌아 오네>의 문구에서 첫머리 두 글자를 취해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운조루는 좌청룡 우백호의 산세와 함께 내수구(앞 도랑)와 외수구(섬진강)가 제대로 되어 있는 명당터에 자리잡고있다.집 앞의 오봉산은 신하들이 엎드려 절하는 형국이라고하며, 연당은 남쪽의 산세가 불의 형세를 하고있어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조성한것이라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이 일대는 금귀몰니 (金龜沒泥), 금환락지 (金環落地), 오보교취 (五寶交聚), 혹은 오봉귀소 (五鳳歸巢)의 명당이 있는 곳이라고 하며, 이 집터에서 거북이의 형상을한 돌이 출토되었기에 금귀몰니의 명당으로서 남한의 3대 길지로 알려져 있다.

 

운조루 고택 입구 솟을대문이 지리산 왕시루봉 능선과 잘 어우로집니다.


운조루에는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아랫사랑채 등으로 각각 누마루가 있었으 나 지금은 아쉽게도 안 사랑채와 아랫 사랑채의 누 마루는 남아 있지 아니하다. 현재 이 집은 건 평 129평 으로 一 자형 행랑채와 북동쪽의 사당채를 제외하고 T 자형의 사랑채와 ㄷ 자형의 안채, 안마당의 곡간채가 팔작지붕, 박공지붕, 모임지붕으로 연결되어있는 일체형 구조를 보이고 있다.

 

타인능해 '아무나 열게 하여 주위에 굶주린 사람이 없게하라' 라는 뜻의 뒤주


이 집에있는 목독(나무로된 쌀독의 마개에 <他人能解>라는 글귀를 써두었음)은 가난한 이웃 사람이 쌀을 꺼내 끼니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음덕을 베풀고 적선을하는 것이 돈을 가진 자의 도리임을 보여 주었던 류씨 문중의 상징물이다. 


200년이 지나도록 망하지 아니하고 오늘날까지 가문이 번창한 것은 오로지 분수를 지키며 생활하고,이웃을 돌보았던 마음이 전승 되어 내려왔기 때문이라고본다. 


류이주의 5세손인 류제양(柳濟陽)은 일만여편의 시(詩)를 쓰고 손자 류형업(柳瀅業)에 이르기까지 80년간 하루도 빠지지않고 생활일기와 농가일기를 썼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록문화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위대한 선조들의 유업이라 아니할 수 없다. 


운조루의 10대 보물



1. 원통형 쌀 목독과 사각형 쌀 뒤주


가난한 사람이 끼니를 끓일 수 있도록 쌀을 빼가도록 허용한 목독에는 타인능해(他人能解)라는 글씨가 씌어 있음. 연말에 쌀 뒤주에 쌀이 남아있으면 손님 접대가 소홀한 것 아니었느냐고  며느리를 꾸중했다고 함.


2. 일기장(日記帳)과 시첩(詩帖), 추사의 병풍


백 년 동안의 생활 일기와 농가일기, 일만 여 편의 시조가 담겨있음. 추사의 팔폭 병풍을 소장하고 있음.


3. 돌 거북이


운조루 터를 닦을 때 부엌 자리에 돌 거북이가 출토되어 보존해 왔으나 도난당하고 지금은 없음.

운조루는 금구몰니의 명당 이라고 함.


4. 조망창과 전망창


부엌의 상단과 할머니가 기거하는 안채에 사랑마당과 들녘을 바라볼 수 있는 창을 내어두었음.


5. 낮은 굴뚝


굴뚝을 낮게 하여 밥 짓는 연기가 이웃의 눈에 띄지 않도록 배려하였다고 함.


6. 가빈(家殯)터


애사를 당했을 때 시신을 3개월간 육탈이 되도록 보존하는 장소가 서쪽 행랑채에 있었음.


7. 위성류(渭城柳)


바깥사랑채 마당에 중국에 다녀온 사신으로부터 선물로 받은 위성류가 자라고 있는데 운조루와 운명을 같이 할 것이라고 전해옴.


8. 품자형(品字形)마당


운조루의 평면도를 보면 안마당과 바깥사랑채, 안 사랑채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입구자가 세 개 모여 있는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선비의 품격을 유지해야한다는 뜻으로 해석됨.


9. 호랑이 머리뼈


솟을대문에 호랑이 머리뼈가 걸려 있는데 이는 집을 지키는 주술적 의미가 있으며 말 채찍으로 호랑이를 잡았다하여 박호장군이라는 교지를 정조로부터 받았다고함.


10. 운조루 기둥의 문양


운조루 누마루의 네 기둥은 각각 호랑이와 나비 바닷물결과 스님의 문양이 새겨져 있음.


운조루의 11대 정신


1. 나눔과 베풂의 積善精神 ㅡ 他人能解

가난한 이웃을 위하여 행랑채에 백미 두가마니반이 들어가는 목독[쌀독]에 쌀을 담아놓고 끼니를 끓일 수 없는 사람이 쌀을 빼다가 끼니를 해결 할 수 있게 하였음. 그 마개에 타인능해라고 써놓았는데 누구나 마음대로 쌀독의 마개를 열 수 있다는 뜻임.


2. 분수에 맞는 生活精神 ㅡ 隨分室

아들이 기거하는 누마루에 수분실 이라는 현판을 걸고 세상을 살아갈 때 항상 자신의 분수에 맞는 생활 태도를 갖도록 하였음.


3. 風流의 精神 ㅡ 時調 萬餘篇

조선조말 한일합방에 반대하고 자살을 했던 매천 황현 같은 시인 묵객들과 더불어 문우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경치 좋은 곳에 정자를 짓고 시를 읊으면서 대대로 써온 시조가 일 만 여 편에 달함.


4. 조망창을 통한 여성배려의정신

남존여비의 유교적 사상이 팽배했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인들을 위한 공간으로 안 사랑채를 동편에 건축 하였으나 현재는 소실되어 복원이 요청됨.


5. 記錄을 남기는 精神ㅡ 百年동안의 日記

3대에 걸쳐 농가 일기와 생활 일기를 백 년 동안 기록하고 사회조직문서와 지세분정기를 자세히 기록하여 당시의 생활상을 한눈에 파악 할 수 있게 하였음.


6. 善政을 베푸는 精神 ㅡ 樂安郡守

낙안 군수로 재직 할 당시에 백성을 잘 보살피고 청빈하게 군수의 직무를 수행하고 다른 곳으로 발령을 받고 부임지로 행차할 때 모든 군민이 길거리에 나와 엎드려 울며 못 가게 붙들었다고 함. 그 당시에 공적비가 있었다하나 지금은 찾을 수가 없음.


7. 建築을 사랑한 精神 ㅡ 水原華城

수원 유수로 재직하면서 수원성을 쌓을 때에 정조의 마음 에 흡족할 정도로 축성을 잘 하였다고 함. 당시에 신하들이 성을 튼튼하게 쌓으면 되지 왜 이렇게 아름답게 쌓습니까? 하고 물으니까 정조는 [아름다움이 능히 적을 이길 수 있느니라] 하고 대답 하였다고 함. 필자의 7대조는 축성의 공로를 인정받아 2계급 특진을 하였음.


8. 節槪를 굽히지 않은 선비 精神ㅡ 創氏改名反對

일본의 조선조 문화 말살 정책의 일환이었던 성씨 개명을 끝까지 반대하고 선비로서의 절개를 굳건히 지킴.


9.父母와 祖上에 대한 孝道精神-제사지내는 일과 무덤 돌보는 일

일기의 내용을 보면 조상을 섬기고 부모님께 효성을 다하는 내용이 거의 대 부분인 점을

보면 대대로 효도를 다하였음을 알 수 있음.


10. 兼愛의 精神ㅡ 굴뚝을 낮게

가난한 이웃을 배려하여 밥 짓는 연기가 멀리서 보이지 않게 함.


11 하인을 해방한 인권존중의 정신 人權尊重의 精神

창건주 유이주의 8세손인 柳曾敎는 1956년경 집안의 하인들에게 노비의 장부를 없애고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조처함.


 [柳 應敎 ㅡ 전북대 명예교수 공박. 시인. 柳 爾胄의 8세손임]

=>류응교 시인 블로그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