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든지 열 수 있다’는 그 뜻
구례 운조루 쌀뒤주
예전 부잣집에 가면 으레 쌀 몇 가마가 들어간다더라는 식으로 소문난 큰 뒤주가 있기 마련. 쌀이 곧 돈이었던 시절에 뒤주는 그 집의 부의 규모를 알려주는 위풍당당한 상징이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구례 토지면 오미리에 있는 운조루의 쌀뒤주가 유명해진 것은 물리적 크기 때문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마음의 크기 때문이다.
고요하게 쇠락해가는 99칸 양반집 운조루. 세월 흘러도 여전히 그 빛을 잃지 않는 게 있다면 옛사람이 이 곳 뒤주에 담았던 뜻이다.
곳간채에 가면 쌀뒤주가 하나 놓여 있다. 넉넉한 마음의 발현인 양 각지지 않고 둥글둥글 풍신한 몸매다. 아름드리 소나무 속을 그대로 파내 원통으로 만들었다. 두 가마 반 정도의 쌀이 들어갈 크기. 하단부에 조그만 직사각형 구멍을 만들어 놓았는데 그 구멍을 여닫는 마개에는 ‘타인능해(他人能解)’라고 씌어져 있다. ‘다른 사람도 마음대로 이 구멍을 열 수 있다’는 뜻이다.
몇 겹의 보안장치는커녕 누구든지 쉽게 열 수 있다는 데 이 뒤주의 아름다운 뜻이 담겨 있다. 가난하고 배고픈 사람은 누구든지 이 뒤주에서 쌀을 퍼가도록 함으로써 생색내지 않고 조용히 나눔을 실천했던 것. 주인이 직접 쌀을 주지 않은 것은 가져가는 이의 자존심을 배려한 것이다.
원래의 마개는 4∼5년전께 도난을 당하고 지금의 마개와 글씨는 1776년 운조루를 세운 류이주선생(1726~1797)의 8세손인 류응교 교수(전북대 건축과)가 복원해놓은 것이다.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이 집에 대대로 내려오는 구전에 의하면 '타인능해' 쌀뒤주가 만들어져 놓인 시기는 운조루가 세워졌던 무렵으로 추정된다.
쌀뒤주에 얽힌 일화 하나. 어느날 류이주의 손자인 류억선생(1796~1852)이 쌀뒤주를 살펴보니 뒤주에 아직 쌀이 남아 있었단다. 그걸 보고 그는 며느리를 불러 “왜 이렇게 많은 쌀이 남아 있단 말이냐? 우리 집안에서 그만큼 덕을 베풀지 않았다는 증거 아니냐. 당장에 이 쌀을 주변사람들에게 나누어 줘라”고 일렀다 한다.
운조루에서는 논농사 2만평을 지어 연평균 200가마를 수확했는데 쌀뒤주에 들어간 쌀이 1년 36가마 분량이었다고 하니 1년 수확의 20%정도를 이웃들과 함께 나눈 셈이다.
류응교 교수는 “‘타인능해’가 새겨진 쌀뒤주는 가진 자의 도리를 일깨우는 상징”이라며
“요즘처럼 부자신드롬과 소유의 욕망에 휘둘려가는 시대에야말로 그 나눔의 뜻이 더욱 새롭고 귀하다”고 말한다.